카테고리 없음2009. 3. 26. 16:26
 ERP소개
출처:http://huniv.hongik.ac.kr/~sungho/ERP_intro.htm

 
 

1 현재 기업 환경  및 ERP도입배경
 

  세계의 경쟁시대에서 기업은 각기 나름대로 경쟁무기로 기업 생존을 추구하여 왔다. 생산성, 품질, 납기 향상등을 꾀하였다. 더군다나 전산시스템의 발전은 기업의 정보 흐름을 원활히 만들게 되었다. 하지만, 지금의 기업환경에서는 보다 발전적이고 포괄적인 기업경영을 기반으로 하는 기업경쟁력 강화를 요구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서 가장 두들어지게 나타나게 된 것이 여러 가지 기업 전산 시스템들이 개발되고 사용되게 되었다.
  기업의 기간업무의 전산화는 개발 요원들이 전산화를 요구하는 부서의 업무를 분석하고 각종 개발 툴을 이용해 회계관리, 인사관리, 급여관리 등을 직접 자사의 업무 프로세스에 맞게 구축하는 주문식 개발방법이 보편적이었으나 최근 ERP라는 이름의 종합경영정보시스템 패키지의 붐이 일면서 컴퓨터 사용자들이 워드 프로세서를 사다 쓰듯이 기업들도 전문 소프트웨어 업체의 경영 Application Package 제품을 사다가 구축하는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같은 변화는 전반적인 전산환경이 Client/Server 환경으로 급속히 재편되면서 급변하는 신기술과 신제품이 쏟아져 기존 전산요원들이 기술적 변화를 따라가기에도 벅차기 때문에 나타나는 필연적인 현상이고, 기업 경영차원에서도 세계화 및 개방화로 기업내 각 업무의 통합화 ? 개방화가 절실히 요구되면서 기업 경영 관리용 Package 소프트웨어가 주목 받고 있다. 이런 대내외적 상황변화로 인해 상용화된 Application Package를 기업의 기간 시스템으로 사용하고 기업의 특성이나 요구에 따라 추가 시스템을 개발해 접목하거나 상용화된 전문화 패키지를 구입한 후 기업의 기간 시스템과 연계해 사용하는 추세로 넘어가고 있다.
  생산 및 자재관리 시스템(MRP II)도입은 생산관련 정보의 자동화라는 측면에서 추진되었는데 최근에는 기업의 Business Process를 재설계하고 여기에 맞는 새로운 기업 정보 시스템이라는 측면이 강조되고 있다. 이런 환경에서 기업경영의 Total Solution 구축의 틀로 기업자원 관리시스템(ERP : Enterprise Resource Planning)을 도입하는 기업이 늘고 있다.
  시장환경이 글로벌화 함에 따라 생산 및 물류의 거점이 국내외 여러 곳에 산재하게 되고, 새로운 개념의 Process인 글로벌 전략 자원관리 및 최적 공급체인 구축이 더욱 중요하게 부각되었다. 정보관리측면에서 글로벌하게 통합된 질높은 정보를 신속히 제공, 최적의 제품공급 및 자재수급이 이루어질 수 있는 신정보시스템은 생산, 자재, 협력업체, 고객, 수수배송, A/S, 회계, 원가 등 기업의 모든 프로세스를 일관되게 통합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기업 정보 시스템에 대한 요구변화에 따라 개발된 것이 ERP 시스템이다.
  기존의 폐쇄적이고 중앙집중식으로 운영되던 비생산적인 기업 업무 프로세스를 과감히 개선해 글로벌 시장경쟁에 대처할 수 있도록 기업재구축 즉 비즈니스 리엔진니어링(BPR)을 이루어야 하고 이와 함께 개선된 기업 업무 프로세스를 효율적으로 지원해 줄 수 있는 정보시스템의 재구축 또한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부품 조달기간의 단축, 제품의 생산 리드타임 단축, 개발기간의 단축, 상품의 납입에 요구되는 기간의 단축, 그리고 고객의 문의에 응답하는 업무 스피드 향상이 실현된다면 매출액의 증대, 고객의 만족도 향상을 꾀해야만 최고의 경쟁 우위를 차지할 수 있는 것이다.
  최근 우리나라의 기업환경은 국제통화기금(IMF)의 지원을 받는 대가로 급격한 시장개방이 예상되고 있다. 이에 따라 높은 실업률, 조세부담의 증가, 물가상승 등의 어려움이 최소한 2년 정도는 계속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또 이에 상승한 국내기업들의 대규모 구조조정이 추진될 것으로 예상된다. ERP가 가지는 특징들은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제시를 하고 있다.
 

2 ERP 정의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에 대해서 APICS(American Production & Inventory Control Society)는 다음과 같이 정의 하고 있다. “An accounting-oriented information system for identifying and planning the enterprise-wide resources needed to take, make, ship, and account for customer orders.”
그리고 Gartner Group은 “A set of applications designed to bring business functions into balance and represents the next generation of business systems.” 라고 정의 하고 있다. 이처럼 ERP에 대한 정의는 서로 조금씩 다르다.

  ERP는 소극적으로 구매와 생산관리, 물류, 판매, 회계 등의 기업 활동 전반에 걸친 업무를 통합한 기업정보시스템의 패키지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다시말해 “기업 전체 경영자원을 계획적으로, 동시에 최적으로 활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좀더 포괄적으로 본다면 고객, 하청회사 등 상하위 공급 체계와 회사내 연간부서의 업무를 동시에 고려하여 시시각각 변하는 기업활동과 정보 기술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게 해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3  ERP 특징

3.1 다국적, 다통화, 다언어(글로벌 대응)
글로벌 경쟁시대에 있어서 다국적 기업은 글로벌한 통제기능을 구비하여야만 한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 디자인을 생산은 동남아시아에서, 판매는 일본에서 전개한다면 애플리케이션은 당연히 글로벌한 대응의 필요가 있다.
(1) 다언어에 대한 대응: 응용소프트웨어에 로그인할 때 이용자의 상용언어를 지정하면 다음 화면부터 안내, 도움말 등이 지정한 언어로 표시 된다.
(2) 현지의 세제, 법적인 보고서에 대한 대응: 현지국가의 상법이나 세법에 따라 지정된 상각계산이나 평가법을 사용하여 법제도에 대응한 보고서 내지 재무제표 작성이 가능하다.
(3) 다양한 통화에 대한 대응: 외화로 입력할 때는 환율계산의 지정에 따라 현지 통화로 환산하여 기록된다.
(4) 연결회계에 대한 대응: 국제회계기준(IAS)에 대응되는 계정과목의 변환, 외화환산, 연결회사간 채권, 채무의 상쇄소거등을 하여 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할 수 있다.
(5) 연결관리회계에 대한 대응: 부문회사에 대한 부문별 손익계산서뿐만 아니라 그룹회사 전체의 부문별 손익계산서를 작성할 수 있다.

3.2 통합업무시스템
판매, 생산, 재고 관리 등의 시스템들이 상호 연동하여 사용자가 요청하는 작업을 즉시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통합 시스템이다.
(1) 전 업무를 회계시스템에 직결: 예를 들면, 판매의 출하 데이터는 외상매출액의 자동 분개 데이터로 회계시스템에 전송되어 주거래처 원장과 총계정 원장이 리얼타임으로 변경된다. 따라서 물건과 사람에 관한 비용정보의 수집, 그리고 비용의 직접배분이 가능하게 된다.
(2) 업무의 통합과 재편성: 컴퓨터의 업무메뉴를 재편성해서 고객 지향적인 업무 체제를 편성할 수 있게 한다.
(3) 사무변화에 대응: 기업을 둘러싼 환경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사업내용의 변경, 확대, 그리고 조직의 빈번한 변경에 신속하고 부드럽게 대응할 수 있게 한다. 판매, 생산, 회계, 인사 등의 업무가 통일된 조직 정의로부터 행해지기 때문에 조직변경을 일관되게 할 수 있고 조직의 빈번한 변경에 대응할 수 있다.

3.3 비즈니스 프로세스 모델에 의한 리엔지니어링의 지원
  ERP를 도입하는 기업은 “최적 비즈니스 실행용”에 의해 제공된 “비즈니스 프로세스 모델”을 이용해서 자사의 업무를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자사의 업무 프로세스의 최적 비즈니스 실행용의 전환은 비즈니스 프로세스 리엔지니어링(BPR)을 실현한다.
(1) ERP 도입의 성공은 현행업무를 패키지에 맞춰서 변경시키고 있다. 자기 회사 고유의 기능을 개발하지 않고 해결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스러운 형태이다.
(2) ERP 패키지에 관한 비즈니스 프로세스 모델:
     ? 처리프로세스
     ? 처리기능
     ? 필요정보
     ? 갱신정보
     ? 처리권한자

3.4 원장형 통합 데이터 베이스
  ERP의 업무 프로세스는 원장형 통합 데이터 베이스라고 하는 중앙의 데이터베이스를 중간매개로 기업활동 전반에 걸쳐 통합되어 있다. 이는 정보의 일관성 유지 및 관리의 중복을 배제할 수 있다.
(1) ‘One fact in One place(한 장소에 한 가지 사실을)’
(2) 데이터의 논리적 통합: 중복시키지 않고 데이터를 보존
(3) 데이터의 완전성: 정보발생원으로서 완전한 데이터를 입력
(4) 데이터간의 리얼타임 결합: 총계정 원장, 분개전표, 가불전표와 더불어 정산전표와 같은 데이터들의 리얼타임 결합을 이루어야 한다. 리얼타임 결합에 따라 발생한 문제의 원인규명에 도움을 주는 구조를 만든다.
(5) 업무?부문별로 구축된 정보 또는 정보의 흐름을 전사 차원의 정보 공유화로 전제로 재설계해야 한다.
(6) ENU(End User Computing)이 가능: 공개된 데이터 베이스에 대해서 여러가지 조건을 설정해 놓고 자유롭게 검색, 집계할 수 있다.
2.3.5 파라미터 설정에 의한 단기간의 도입과 개발이 가능
ERP 에서는 미리 장착된 업무기능을 파라미터 설정으로 자사에 맞게 선택하고 설정한다. 이것은 바로 단기간에 시스템을 도입할 수 있게 한다.
(1) 파라미터의 의미: 첫째, 처리를 실행할 때 화면에서 지정가능. 둘째, 입력이나 마스터의 항목을 사용할지에 대한 지정, 계산방법이나 체크 등 내부 로직 지정, 장표의 출력 레이아웃 지정 등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커스터마이즈)
(2) 개발기간의 단축: ERP 도입 단계의 프로젝트에 관해서는 엔드유저가 중심이 되어 개발기간을 단축한다.
(3) 보수공수를 감축: 보수작업도 파라미터의 변경으로 가능

3.6 오픈, 멀티 벤더
특정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업체에 의존하지 않고, 다양한 하드웨어 업체의 컴퓨터와 소프트웨어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정보시스템을 쉽게 확장할 수 있다.
(1) 시스템 핵심부분: 여러가지 운영시스템이나 데이터베이스 소프트웨어에 대응한 시스템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다.
(2) 유저 인터페이스: 단말기와 애플리케이션과의 대화형 부분을 제어하고 있다.
(3) 통신 인터페이스: EDI등 다른 시스템과 데이터 교환을 제어하고 있다.
(4) 프로그래밍 기술: 독자적인 프로그래밍 언어, 대화단계 처리, 데이터 베이스의 저장 관리 등을 행한다.

4  ERP 등장 과정
  1970년대의 MRP(Material Requirement Planning)와 1980년대의 MRP II(Manufacturing Resource Planning), 생산관리 분야의 JIT, TQM등 그리고 경영 분야의 MIS(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EIS(Executive Information System)등의 분야에 그 근간을 두고 있다. ERP는 갑자기 생겨난 것이 아니라 점차 발전을 거듭하여 나타나게 되었다. 특히 MRP와 MRP II의 과정을 통해서 생겨 나게 되었음을 알 수 있다.

4.1 MRP(Material Requirement Planning)
  1960년대 제품을 구성하는 모든 요소 즉 원자재, 반조립품, 완제품등에 대한 자재 수급 계획과 생산관리를 통합시킨 최초의 체계적인 제조정보 관리 기술이다. MRP시스템은 기준정보를 근거로 어떤 물건이 언제, 어느 곳에서 필요한지를 예측하고, 모든 제조활동과 관리활동이 그 같은 계획에 근거하여 움직이기 때문에 기업 자원의 비능률적인 활용이나 낭비를 제거 할 수 있게 하였다. 그러나 초기의 MRP시스템은 확고한 개념의 미정립, 컴퓨터와 통신 기술의 부족, 데이터 베이스 기술의 미흡 등으로 시스템을 구현시키기에는 여러 가지로 부족한 점이 많았다.

4.2 MRP II(Manufacturing Resource Planning)
  1980년대에 이르러 소품종 대량생산의 제조환경이 다품종 소량생산의 형태로 전이되기 시작되었으며, 고객 지향의 업무체계가 각광받기 시작하면서, 수주관리, 판매관리 등의 기능이 보다 중요하게 되었고 재무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컴퓨터 기술의 발달로 데이터 베이스나 통신 네트워크가 중요한 기술로 등장하게 되었고, 이것은 MRP에 큰 변화를 끼치게 된다. 기존 MRP의 문제점을 개선하면서 재무관리 등 중요 기능을 새로이 포함시킨 시스템으로 확장되었다. 즉 생산현장의 실제 데이터와 제조자원의 용량 제한을 고려하고, 자동화된 공정 데이터의 수집, 수주관리, 재무관리, 판매주문관리 등의 기능이 초가되어 실현가능한 생산계획을 제시하면서 제조활동을 더 안정된 분위기에서 가장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MRP II이다.
생산관리의 입장에서 본다면, MRP는 제조자원이 한정되어있다는 사실을 간과한 시스템이다. MRPII는 “제조자원이 한정되어 있다는 상황”을 생산계획의 수립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한 시스템이다. 그리고 원가관리, 회계, 재고관리, 수주관리 등의 기능이 추가되거나 대폭 개선됨으로써 생산, 판매, 물류라는 3부분의 연계를 가능하게 하였다.

4.3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1990년대에 들어 컴퓨터 기술의 발전이 더욱 가속화되면서, 기업들은 MRP, MRP II를 넘어서는 요구를 하게 되었다. 즉 고객, 하청회사 등 상하위 공급체계와 설계, 영업, 원가회계 등 회사내 연관부서의 업무를 동시에 고려하지 않고서는 올바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없다는 인식을 하게 되었다. ERP는 생산 및 생산괸리 업무는 물론 설계, 재무, 회계, 영업, 인사등의 순수관리 부문과 경영지원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ERP를 제조 시스템에 계속 있어왔던 경향들의 논리적 환장”이라고 볼 수 있다. 어떤 면에서는 현재의 MRP II의 확장을 ERP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MRP II와 ERP의 차이는 근본적으로 전산 기술의 발달의 차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여러 제조 업체와 유통업체를 엮어서 계획을 수립하고 조정할 수 있게 해 준다.

ERP의 발전과정을 다음의 그림으로 나타낼 수 있다.
 
 


 
 
 

Posted by 7차원